Beyond Theory and Numbers

경제학의 깊이를 더하고, 경제의 숨겨진 본질을 찾는 과정의 기록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학의 목표

EconomyKang 2025. 3. 17. 22:09
728x90
반응형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이란?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경제성장경기변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크게 두 가지 핵심 연구 분야로 나뉩니다.

  • 경제성장이론(Economic Growth Theory) → GDP의 장기적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을 연구
  • 경기변동이론(Business Cycle Theory) → 경제가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이유를 분석

이 연구들은 결국 완전고용, 물가 안정, 대외 균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거시경제의 주요 목표

1. 완전고용(Full Employment)

경제 내에서 일하고 싶은 모든 사람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는 상태
하지만 현실에서는 모든 실업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제학에서는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oyment)"이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즉, 마찰적 실업(일자리 탐색 과정에서 발생)과 구조적 실업(산업구조 변화로 발생)은 완전고용 상태에서도 존재 가능.
 
예)

  • 마찰적 실업: 대학을 졸업한 A가 더 나은 직장을 찾기 위해 몇 달 동안 구직 활동을 하는 경우
  • 구조적 실업: 공장에서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기존 노동자들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경우

 

2. 물가 안정(Price Stability)

물가가 너무 급격하게 오르거나 떨어지면 경제가 혼란스러워집니다.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심해지면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고, 반대로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이 발생하면 기업이 투자를 줄이고 소비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 물가가 급변하면 누구도 화폐를 신뢰하지 않음 → 교환경제가 불안정해짐
  • 기업과 소비자가 가격 변동을 예측할 수 없으면, 장기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워짐

중앙은행은 "통화정책(기준금리 조정, 통화량 관리)"을 통해 물가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합니다.

 

3. 대외 균형(External Balance)

 
국가 간 무역과 자본의 흐름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
이때 중요한 개념이 "경상수지(Current Account Balance)"인데, "무역수지(수출-수입)"와 "소득수지(해외 투자 수익 등)"를 합한 개념
 
왜 균형이 필요할까?

  • 경상수지 적자(수입 > 수출) → 외화 부족 → 금융위기 가능성 증가 (ex. IMF 사태)
  • 경상수지 흑자(수출 > 수입) → 환율 하락(자국 통화 강세) → 수출 경쟁력 약화 & 자산시장 거품 형성

따라서 정부는 환율, 금리, 통화량 조절을 통해 국제수지를 관리하려고 합니다.


거시경제정책

정부는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을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거시경제정책을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재정정책(Fiscal Policy)

정부가 세금과 지출을 조정하여 경제를 조절하는 정책

  • 경기가 나쁠 때(불황) → 정부가 지출을 늘리고 세금을 낮춰 소비와 투자를 촉진
  • 경기가 과열될 때(호황) → 정부가 지출을 줄이고 세금을 올려 인플레이션을 방지

 2. 통화정책(Monetary Policy)

중앙은행이 통화량과 금리를 조절하여 경제를 관리하는 정책

  • 기준금리를 낮추면 → 대출이 쉬워지고 소비·투자가 증가 → 경제 활성화
  • 기준금리를 올리면 → 대출이 어려워지고 소비·투자가 줄어듦 → 인플레이션 억제

이 두 가지 정책을 적절히 활용하여 경제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조절합니다.
 


 

거시경제학의 연구 방법

거시경제학에서는 다양한 경제 모형을 사용해 경제를 분석합니다. 경제 모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개념입니다.

1. 경제주체(Economic Agents)

거시경제에서는 소비자기업이 주요 경제주체

  • 소비자는 효용을 극대화하려고 행동 - 소비 결정
  • 기업은 이윤을 극대화하려고 행동 - 투자 결정

경제학에서는 이 경제주체들이 모두 동일한 행동을 한다고 가정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 동질적 경제주체: 모든 소비자와 기업이 동일한 특성을 가진다고 가정 - 단순한 경제 모형
  • 이질적 경제주체: 소비자와 기업이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짐 - 현실적이지만 분석이 복잡해짐

2. 내생변수(Endogenous Variables) & 외생변수(Exogenous Variables)

  • 내생변수: 경제 모형 내에서 결정되는 변수 (예: 가격, 생산량)
  • 외생변수: 경제 모형 밖에서 주어지는 변수 (예: 정부 정책, 기후 변화)

 예)

  • y = ax + b라는 함수에서
    • x와 y는 내생변수 (함수 내에서 결정됨)
    • a와 b는 외생변수 (함수 자체를 변화시키는 요소)

3. 가격의 경직성과 유연성

  • 단기적으로는 가격이 천천히 조정되면서 시장에 초과 수요나 초과 공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기적으로는 가격이 조정되면서 시장이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가격이 유연하게 조정되는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루는 시장청산(Market Clearing)이 가능합니다.


4. 불확실성과 기대의 형성

미래는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사람들은 과거 경험과 정보를 바탕으로 기대를 형성합니다.
 
기대 형성 방식 3가지
1. 정태적 기대(Static Expectation): 과거의 값이 그대로 유지될 거라고 가정
(예: "작년 물가가 3% 올랐으니, 올해도 3% 오를 거야!")

2. 적응적 기대(Adaptive Expectation): 과거 데이터를 참고해 점진적으로 기대를 수정
(예: "작년에 2%, 올해 3% 올랐으니, 내년엔 3% 이상 오를지도?")

3. 합리적 기대(Rational Expectation):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활용해 미래를 예측
(예: "정부가 금리를 올렸으니, 물가 상승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커!")


 
이처럼 거시경제학은 단순히 경제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정책과 시장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도 주식을 하면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이런 개념들을 익히면 뉴스나 정책 변화도 훨씬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고, 투자에도 큰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 글이 여러분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