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ory and Numbers

경제학의 깊이를 더하고, 경제의 숨겨진 본질을 찾는 과정의 기록

728x90
반응형

보상수요곡선 2

[미시경제학] - 소비자이론(응용)_여가-소득 모형, 소비자잉여

여가-소득 모형 해당 모형은 노동공급을 결정하는 모형입니다. 하루 또는 일정한 총 가용 시간(T)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노동 시간 H : 일해서 돈 버는 시간여가 시간 L : 쉬는 시간그래서 T = H + L이 성립합니다. 이때, 소득 M은 노동시간 H에 임금 w를 곱해서 나옵니다. M = wH = w(T-L) 즉, 여가가 많을수록 소득은 줄어듭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여가 L과 소득 M의 조합에서 효용을 얻습니다.U = U(L, M) 위 그래프는 여가와 소득에 대한 그래프입니다. L = 0일 때, T = H이기에, 소비자는 wT, 노동만 합니다.L = T 즉, H = 0, 노동은 안 하고 놀기만 할 때, M = 0입니다. 알고 있듯이, 최적의 선택은 소비자가 효용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지점인데, 그 ..

[미시경제학] - 소비자이론('최적의 선택')

그렇다면, '소비자'는 어떻게 '최적의 선택'을 하는지에 대해서 학습한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을 활용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예산선'은 주어진 소득 안에서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두 재화의 모든 조합을 나타내는 직선입니다.'무차별곡선'은 소비자가 같은 효용을 얻는 다양한 재화 조합을 나타내는 곡선입니다. 이때, 우리가 알고 싶은 것은 '최적 소비 조합'입니다.소비자는 제한된 예산 내에서 가장 높은 효용을 얻고 싶어 합니다.즉, 예산선과 무차별곡선이 접하는 점이 최적 소비 조합이 됩니다. 소비자는 "한계대체율(MRS) = 가격비율(PX/PY​)"이 되는 점에서 최적의 선택을 하게 됩니다.즉, 소비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교환 비율과 시장 가격 비율이 같아지는 순간 최적의 소비가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