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ory and Numbers

경제학의 깊이를 더하고, 경제의 숨겨진 본질을 찾는 과정의 기록

728x90
반응형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8

[거시경제학] - 중간 정리

거시경제학이란>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는 1. 경제성장, 2. 경기변동 1. 경제성장이론에서는 GDP의 장기적인 추세를 다룬다. 2. 경기변동이론에서는 대내외적 충격에 따른 GDP의 단기적인 변동에 대해 다룬다. 거시경제의 목표는 크게 1. 완전고용, 2. 물가안정, 3. 대외균형이다. 1. 완전고용 : 주어진 임금수준에서 일할 의사가 있는 사람이 모두 고용되는 것을 의미함.이때, 마찰적 실업, 구조적 실업은 제외 마찰적 실업 : 일자리 탐색과정에서 나타나는 실업구조적 실업 : 경제구조변화와 제도적 요인 때문에 발생하는 실업 완전고용(자연) 실업률 : 장기적으로 가능한 최저실업률 2. 물가안정 : 화폐가치를 안정시킴으로써 교환경제를 지속가능하게 한다.물가안정을 통해 경제적 의사결정상 불확실성을 해소하여 ..

[거시경제학] - 실업과 인플레이션

거시경제가 직면한 두 가지 해로운 현상 : 실업, 인플레이션 1. 오쿤의 법칙(Okun's Law) : 실업률이 증가하면 GDP증가율이 감소하는 역의 관계 2.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 단기적으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사이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임 하나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변수의 목표치를 희생해야함 -> 장기에는 필립스 곡선이 잘 정의되지 않는다. 필립스 곡선은 근본적으로 총공급곡선의 다른 표현이다. 장기에는 기대물가가 변하거나, 공급 충격이 발생하고, 이에따라 총공급곡선과 필립스 곡선이 이동함 기대물가수준이 일정하지 않으면, 필립스 곡선이 여러 개 생기고, 하나의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 불가 -> 기대물가, 공급충격, 자연실업률이 안정적이어야 필립스 곡선이 유효함 자..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경기변동은 경제가 장기균형에서 벗어나는 현상으로, 장기균형을 향해 이동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단기균형의 연속입니다.경기변동이 장기균형에서 위로 벗어나면 인플레이션이, 아래로 벗어나면 실업이 발생합니다.이처럼 경기변동은 인플레이션이나 실업이라는 형태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합니다.그래서 경제정책의 중요한 목표는 경기변동을 완화하여 장기균형에 가깝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완전한 가격 경직성완전한 가격 경직성을 전제로 했을 때, SRAS의 형태는 수평선으로 그려집니다.즉, 수평인 SRAS 곡선은 일정한 가격 수준(P)에서만 공급이 이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때, 총수요(AD)의 변화는 산출량(Y)의 변동으로만 이어지고, 물가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거시경제학에서 단기 분석을 할 때 늘 쓰이는 IS - LM..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의 장기 균형(총수요관리정책)과 통화수량설

거시경제의 장기 균형은 장기(LRAS)와 단기(SRAS) 총공급곡선과 총수요곡선(AD)이 만날 때 달성된다. AD곡선은 물가 수준이 하락하면 실질소득이 증가해서 우하향한다.수요 측 요인들(G, T, M 기대인플레이션 등)이 위치를 움직인다. SRAS곡선은 단기에 임금이나 일부 가격이 경직적이라서, 물가가 오르면 생산이 증가하여, 우상향 곡선을 띤다. LRAS곡선은 장기에 모든 가격과 임금이 조정되어 산출량은 오직 자원과 기술, 즉 생산요소로만 결정된다.그래서 LRAS는 수직선이다. 장기균형이란 사람들의 기대가 실현될 정도로 긴 기간이다.이때, 실질 GDP와 잠재 GDP는 동일하며, 총수요와 총공급도 같다. 물가 수준 역시 균형 물가이며, 노동시장도 균형을 이루고, 실업률은 자연실업률 수준을 따른다. 기..

[거시경제학] - 총수요곡선(IS-LM모형)_ 피셔 등식과 기대물가상승

우리는 "가격 경직성이 존재하는 단기에는 총수요가 총생산을 결정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제 거시경제학의 본격적인 핵심으로 들어왔습니다.IS-LM 모형은 거시경제학에서 '총수요(AD)'를 분석할 때 아주 중요한 도구입니다.우리가 경제학 공부를 제대로 하는 사람이라면, IS-LM 모형은 무조건 꿰고 가야 합니다. IS-LM 모형은 '실물시장'과 '화폐시장'의 균형을 동시에 보여주는 모형입니다.'국민소득'과 '이자율'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고, '단기의 총수요'를 설명하는 대표 모형입니다. IS-LM 모형의 그래프는x축 : 국민소득(Y), y축 : 이자율(r)이며, 두 곡선이 만나는 점이 상품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 균형입니다. IS-LM 모형은 IS 곡선과 LM 곡선으로 구성되어 ..

[거시경제학] - 가격 경직성이 존재하는 이유

단기총공급곡선(SRAS)은 실질 GDP와 물가 수준 간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기본적으로, 물가 수준은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의 평균 가격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소비자물가지수, GDP 디플레이터 등으로 측정됩니다.물가 수준이 증가하면, 기업은 기존보다 더 비싼 가격에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되며, 기업은 기존보다 공급을 늘리게 될 것입니다. 결국, 실질 GPD가 상승하게 되는 겁니다.실질 GDP는 한 경제가 일정 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기업들이 더 많은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면 실질 GDP가 증가하게 되어 있습니다.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그래프가 단기총공급곡선인데, 보통 단기총공급곡선은 우상향 하는 모습을 띕니다. 단기총공급곡선이 우상향 하는 ..

[거시경제학] - 총공급과 총생산, 한계생산과 효용

총공급(Aggregate Supply, AS)과 총공급곡선총공급(Aggregate Supply, AS)은 한 경제에서 기업들이 생산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을 의미합니다.이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 총공급곡선(Aggregate Supply Curve, ASC)입니다. 총공급곡선은 국내총생산(GDP)과 물가 수준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곡선입니다.즉, "물가 수준(Price Level, P)"이 변할 때 "경제 전체의 총생산량(Real GDP, Y)"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냅니다. 이때 물가수준(Price Level, P)은 경제 전반에서 재화와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 수준을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한 나라에서 물건들이 전반적으로 얼마나 비싼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인플레이션과 ..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학의 목표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이란?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경제성장과 경기변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며, 크게 두 가지 핵심 연구 분야로 나뉩니다.경제성장이론(Economic Growth Theory) → GDP의 장기적 성장과 생활수준 향상을 연구경기변동이론(Business Cycle Theory) → 경제가 단기적으로 변동하는 이유를 분석이 연구들은 결국 완전고용, 물가 안정, 대외 균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합니다.거시경제의 주요 목표1. 완전고용(Full Employment)경제 내에서 일하고 싶은 모든 사람이 일자리를 가질 수 있는 상태하지만 현실에서는 모든 실업을 없애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경제학에서는 "자연실업률(Natural Rate of Unempl..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