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ory and Numbers

경제학의 깊이를 더하고, 경제의 숨겨진 본질을 찾는 과정의 기록

728x90
반응형

소비자이론 2

[미시경제학] - 소비자이론(응용)_여가-소득 모형, 소비자잉여

여가-소득 모형 해당 모형은 노동공급을 결정하는 모형입니다. 하루 또는 일정한 총 가용 시간(T)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노동 시간 H : 일해서 돈 버는 시간여가 시간 L : 쉬는 시간그래서 T = H + L이 성립합니다. 이때, 소득 M은 노동시간 H에 임금 w를 곱해서 나옵니다. M = wH = w(T-L) 즉, 여가가 많을수록 소득은 줄어듭니다. 따라서, 소비자는 여가 L과 소득 M의 조합에서 효용을 얻습니다.U = U(L, M) 위 그래프는 여가와 소득에 대한 그래프입니다. L = 0일 때, T = H이기에, 소비자는 wT, 노동만 합니다.L = T 즉, H = 0, 노동은 안 하고 놀기만 할 때, M = 0입니다. 알고 있듯이, 최적의 선택은 소비자가 효용을 최대로 얻을 수 있는 지점인데, 그 ..

[미시경제학] - 소비자이론(예산제약과 선택)_ "19세기 아일랜드 감자 기근"

우리는 대부분 정해진 소득 안에서 살아갑니다.이번에는, 정해진 소득 안에서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경제 이론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예산제약상품을 구입하는 데 지출될 수 있는 소득은 일정한 크기로 주어져 있습니다.이때 소득은 M, 두 재화를 각각 x, y라고 할 때 각 재화의 가격을 PX, PY로 설정합니다. '예산제약식'입니다. 해석을 해보자면, 각 재화의 가격과 수량을 곱한 것을 더한 것과 소득이 일치해야 합니다.소득이 100만 원이고, x재화의 가격이 100원, y재화의 가격이 200원이라고 할 때, 변수는 각 재화의 수량입니다.밑에 식은 '예산제약식'을 그래프로 시각화하기 위해 수학에서 사용하는 1차 함수로 변형한 것입니다.예산제약식을 그래프로 시각화하면 이런 모양이 나옵니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