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거시경제가 직면한 두 가지 해로운 현상 : 실업, 인플레이션
1. 오쿤의 법칙(Okun's Law) : 실업률이 증가하면 GDP증가율이 감소하는 역의 관계
2. 필립스 곡선(Phillips curve) : 단기적으로 실업률과 물가상승률 사이의 역(-)의 상관관계를 보임
하나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변수의 목표치를 희생해야함
-> 장기에는 필립스 곡선이 잘 정의되지 않는다.
필립스 곡선은 근본적으로 총공급곡선의 다른 표현이다.
장기에는 기대물가가 변하거나, 공급 충격이 발생하고, 이에따라 총공급곡선과 필립스 곡선이 이동함
기대물가수준이 일정하지 않으면, 필립스 곡선이 여러 개 생기고, 하나의 필립스 곡선으로 설명 불가
-> 기대물가, 공급충격, 자연실업률이 안정적이어야 필립스 곡선이 유효함
자연율(자연실업률) : 인플레이션이 가속적으로 일어나지 않는 최저수준의 실업률
-> 인플레이션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자연실업률이 달성됨
(탈)인플레이션 정책(필립스 곡선) : 인플레이션을 진정시키는 정책
희생률 : 인플레이션을 1% 포인트 낮추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연간 GDP 감소량
728x90
반응형
'경제학 이론 > 거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학] - 총수요곡선 변동 정리(IS-LM-BP모형과 이자율 소득 관계 활용) (25) | 2025.06.06 |
---|---|
[거시경제학] - 중간 정리 (3) | 2025.04.20 |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1) | 2025.04.14 |
[거시경제학] - 거시경제의 장기 균형(총수요관리정책)과 통화수량설 (4) | 2025.04.07 |
[거시경제학] - 총수요곡선(IS-LM모형)_ 피셔 등식과 기대물가상승 (3)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