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의 종류
이익배당과 잔여재산 분배권리 순서에 따라 보통주, 우선주로 구분
보통주(Common Stock)
- 기업 경영에 대한 참여권 있음: ‘1주 1표’ (cf. 황금주)
- 기업은 배당지급에 대한 법적 책임 없음
우선주(Preferred Stock): 회사채와 보통주의 성격이 혼합된 주식
- 일정률의 배당을 지급받음
- 일반적으로 경영참여권 없음
- 전환우선주(convertible), 상환우선주(redeemable)
Equity Valuation Models
Dividend Discount Model: DDM(배당할인모형)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Dividend)을 미래 현금 흐름으로 계산
배당금의 성장이 없는 경우(g=0) -> 기업의 이익이 일정하며, 모두 배당
배당금의 성장률이 일정한 경우(g=constant)
단계별 성장의 경우(Life-cycle multi-stage growth) -> 기업들이 성장 주기를 거친다고 가정
-> 초기단계에서는 기업의 성장이 경제 전체의 성장보다 훨씬 빠르며, 성숙단계에서는 기업의 성장과 경제 전체의 성장이 비슷하며, 마지막 단계에서는 기업의 성장이 경제 전체의 성장보다 느리다.
고속성장기업(supernomral growth firms): 일정기간 동안 경제 전체의 성장보다 더빠르게 성장하는 기업의 주식가치를 평가할 경우에는 배당성장률의 단계적 변화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Free Cash Flow Approach:
회사의 연간 이익(Earnings)으로부터 산출되는 잉여현금흐름(Free Cash Flow)으로 계산
Intrinsic Value(내재가치) vs. Market Price(시장가격)
IV > MP, Buy (undervalued)
IV < MP, Sell or Short Sell (overvalued)
IV = MP, Hold (fairly priced)
비교평가(Relative Valuation)
경쟁기업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에 기초하여 주식가치를 산출
1. PER(Price-Earning Ratio) -> P/EPS -> P=PER X EPS
PER이 낮은 이유가 이익대비 성장성이 낮거나, 위험이 커서일 수도, PE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된 주식으로 판단 X
PER 모형은 이론적으로 매우 단순하지만, EPS와 같은 회계자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음
EPS는 시장가치가 아니라 정부가치이다. 즉, 시장가치 개념에 의한 기업의 수익력을 제대로 반영 못 할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PER은 인플레이션 시기에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PER은 인플레이션과 어느 정도 반대로 움직인다.
PER은 경기에 매우 민감하다. 즉, 추세적으로 EPS가 낮은 연도에는 PER이 커지고, EPS가 높은 연도에는 PER이 낮아진다.
2. PBR(Price to Book Value Ratio) -> P/BPS ->P = PBR * BPS
'경제학 이론 > 금융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투자론] - 중간정리 (4) | 2025.04.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