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heory and Numbers

경제학의 깊이를 더하고, 경제의 숨겨진 본질을 찾는 과정의 기록

경제학 ETC

[금융투자론] - 중간정리

EconomyKang 2025. 4. 28. 21:14
728x90
반응형

투자방식의 종류

1. Top-down(탑다운 투자방식) : 거시 경제적 요소와 산업 동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접근법

 

a. 국가 경제, 금리, 환율, 정책 변화 등의 거시 경제 지표를 분석

b. 산업 분석

c. 산업 내에서 최적의 기업 선정

-> 경기순환 주기에 따른 투자, 장기투자, 가치투자 방식

 

 

2. Bottom-up(바텀업 투자방식) : 개별 기업의 분석을 중점적으로 하는 접근법

 

a. 기업의 재무 상태, 경영진, 제품 경쟁력 분석

b. 가치평가 : 주가가 기업의 내재 가치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는지를 분석

-> 스타트업 투자


채권

채권이란 미래 현금흐름이 미리 정해진 청구권으로서 고정소득증서(fixed-income)의 대표적 형태이다.

이자지급유무와 만기에 따라 1. 할인채, 2. 이표채, 3. 영구채로 구분한다.

 

채권의 가격은 채권보유에 따르는 미래현금흐름을 적정 이자율로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구해서 결정한다.

채권 가격 = 매기 이자지급액의 현재가치 + 만기 액면금액의 현재가치

 

채권의 미래 현금흐름을 할인하는 데 사용되는 이자율이 변하면 채권가격 역시 변화한다.

이때, 이자율이 하락(상승)하면 채권가격은 상승(하락)하는 역상관관계가 성립된다.

-> 채권의 이자율이 상승하면 그만큼 현재가치 할인을 했을 때 채권가격이 하락함.

 

1. 할인채(discount bond)

 

할인채는 할인하여 발행하고, 이자 지급 없이 만기에 액면금액을 상환하는 채권으로, 무이채표(zero coupon bond)라고도 한다.

 

a. 할인채의 경우 투자수익은 채권가격 상승에서만 발생한다.

b. 할인채는 만기 시 액면금액이 상환되므로, 할인채의 가치는 만기에 가까워질수록 액면금액으로 수렴한다.

c. 만기 1년 미만 단기채들이 할인채로 발행된다. 미국채(U.S Treasury Bill: T-bill)가 대표적이다.

 

2. 이표채(coupon bond)

 

가장 일반적인 채권 형태로서, 만기 이전에는 매기 일정액의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이자와 액면금액을 함께 지급하여 상환

 

*STRIPS (Separate Trading of Registered Interest and Principal of Securities)

 

STRIPS =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를 원금(Principal)과 이자(Interest) 부분으로 나눠서 따로 거래할 수 있게 만든 금융상품

 

Stripping(분리) : 이표채의 이자지급과 액면금액을 분리하여 할인채로 거래

Reconstituting(재결합) : 할인채들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이표채로 거래

 

일반적인 국채는 매 6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 시 원금을 돌려줍니다.

하지만, STRIPS는 이 원금과 이자 지급을 각각 별개의 할인채로 만들어 따로 팔 수 있게 합니다.

-> 만기까지 남은 5번의 이자 지급(쿠폰)과 최종 원금 지급을 합쳐 총 6개의 개별 증권으로 쪼갤 수 있음

 

각 조각(STRIP)은 만기일이 정해진 할인채처럼 거래되는데, 중간에 이자가 없고 만기 때 정해진 금액을 한 번에 받음

이 때문에 STRIP은 만기까지 이자 재투자 위험이 없어서, 순수한 금리 변동에 더 민감하게 움직임

 

3. 영구채(perpetual bond : consol)

 

영구적으로 이자만 지급하는 채권, 주식과 채권의 특성을 혼합한 신종자본증권(hybrid bond)에 해당


채권 수익률

채권의 수익률은 크게 1.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과 2. 보유기간수익률(holding period return, HPR)로 구분됩니다.

 

1. 만기수익률(yield to maturity, YTM)

 

만기수익률은 채권 보유 시 발생하는 현금흐름(이자, 액면금액)을 현재가치로 할인하는데 적용되는 이자율(r)입니다.

이는,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할 경우의 연평균투자수익률에 해당합니다.

 

2. 보유기간수익률(holding period return, HPR)

 

보유기간수익률은 채권매입가격대비 채권보유수익률

 

3. 수익률곡선의 특성

 

수익률곡선이 우상향하면, 장기이자율이 단기이자율보다 높음을 의미합니다.

수익률곡선이 우하향하면, 장기이자율이 단기이자율보다 낮음을 의미합니다.

수익률곡선이 수평이면, 기간에 관계없이 이자율이 일정함을 의미합니다.

 

<채권 가격 정리>

 

1. 채권가격은 이자율의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변동합니다.

->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가격은 하락. 이자율이 하락하면, 채권가격은 상승

 

2. 동일한 이자율 변동에 대하여, 장기채권의 가격이 단기 채권의 가격보다 큰 폭으로 변동합니다.

->  장기채권은 이자율 변화에 노출되는 기간이 길어서 이자율 변화의 영향을 더 크게 받습니다.

 

3. 이자율 변동이 발생할 때, 채권 가격의 변동폭은 잔존만기에 따라 체감적으로 증가합니다.(비례적으로 증가하지 않습니다.)

-> 잔존만기가 길수록 가격 민감도는 커지지만, 일정 시점 이후에는 증가 속도가 둔화됩니다.

 

4. 이자율 리크스는 채권만기의 변화율보다 작습니다.

-> 채권 만기가 늘어나도 이자율 리스크는 일정 수준 이후 완만하게 증가합니다.

 

5. 동일한 이자율 변동에 대하여, 채권 가격의 하락과 상승폭은 비대칭적입니다.(비선형관계)

-> 채권 가격과 이자율 관계는 곡선(볼록성, convexity)을 가지므로, 상승할 때보다 하락할 때 가격 변동폭이 더 큽니다.

 

6. 이표율이 높을수록 이자율변동에 대한 채권가격의 변동률은 작습니다.

-> 이표채는 중간중간 이자 지급으로 원금 회수 시점이 빨라져 이자율 변화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이자율 위험

1. 시장이자율이 채권수익률보다 높으면, 채권의 기대수익률이 시장이자율로 상승할 때까지 채권가격은 하락한다.

2. 이자율이 상승/하락함에 따라 채권보유자는 가격 하락/상승(자본손실/이득)을 경험한다.

3. 이자율변화에 대한 채권가격의 반응도는 만기가 길수록 크고, 이표채보다 할인채에서 크게 나타난다.

 

듀레이션(Duration)

 

듀레이션(duration)은 채권현금 흐름의 현재가치로부터 투자액을 회수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상환기간을 말합니다.

이자율변동에 따른 채권가격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할인채의 듀레이션은 잔존만기와 일치하고, 이표채의 경우 잔존만기보다 짧아지게 됩니다.

 

채권의 듀레이션(D)은 채권에서 발생하는 이자 또는 원금 지급횟수의 가중평균으로 계산됩니다.

가중치는 채권의 가치에서 각 현금흐름의 현재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으로 정의됩니다.

 

1.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이표율이 낮은 채권일수록 듀레이션이 길어진다.

-> 채권의 이표율이 낮을수록 투자원금회수에 걸리는 평균기간이 길어진다.

 

2. 이표율이 고정된 경우, 채권의 듀레이션은 잔존만기에 비례하여 늘어난다.

-> 잔존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이자율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볼록성(Convexity)

 

듀레이션은 기본적으로 이자율과 채권가격간의 선형적 관계를 가정 : 우하향하는 직선

그러나, 실제 두 변수(이자율과 채권가격)는 비선형적 함수관계를 갖고 있음 : 원점에 대하여 볼록한 곡선

따라서, 금리변동폭이 클 경우, 듀레이션에 의한 가격변동 측정은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므로 볼록성(convexity)을 고려해야 함.

 

1. 채권의 현금흐름이 장기간에 걸쳐 균등하게 분포될수록 볼록성이 커진다

-> 따라서 채권 매수포지션의 경우, 듀레이션이 같다면 볼록성이 높을수록 유리하다

 

2. 단기채, 할인채는 볼록성이 낮은 특성을 가진다.

728x90
반응형

'경제학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세론] - 중간정리  (2) 2025.04.21